네트워크

[네트워크] 웹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통신

연화 2025. 3. 26. 17:03

우리는 매일 웹사이트를 이용합니다.
뉴스를 보거나, 쇼핑을 하거나, SNS에 글을 올리는 그 순간에도 웹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는 활발한 "통신"이 일어나고 있어요.

그렇다면 웹 서비스가 작동하는 이 "통신의 흐름", 어떤 과정으로 이뤄질까요?

 

📡 통신이란?

먼저, 통신이란 정보를 주고받는 행위를 말합니다.
예전엔 전화나 편지를 통해 이뤄졌지만,
오늘날엔 인터넷이라는 통신망 덕분에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실시간으로 정보가 오갑니다.

 


 

🌍 웹이란?

웹(Web)은 바로 이 인터넷을 기반으로 구현된 정보 공간이에요.
우리는 웹을 통해 뉴스, 쇼핑, 커뮤니티 등 수많은 정보를 빠르게 얻고 있죠.

 


 

🧑‍💻 웹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역할

웹에서는 정보를 요청하는 쪽제공하는 쪽이 존재합니다.

역할설명
🧑‍💻 웹 클라이언트 정보를 요구하는 주체 (브라우저, 앱 등)
🖥️ 웹 서버 정보를 제공하는 주체 (HTML, 이미지, API 응답 등)
📄 웹 리소스 서버가 제공하는 정보 자원 (HTML, CSS, JS 등)

 


 

🔄 웹 통신의 전체 흐름

웹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통신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이뤄집니다:

  1. 이용자(클라이언트)
    사용자가 브라우저를 열고, 어떤 웹사이트 주소를 입력합니다.
  2. 클라이언트 요청 (HTTP 요청)
    브라우저는 사용자의 요청을 분석해 HTTP 형식으로 서버에 전달합니다.
    예: "이 페이지의 HTML 파일을 주세요!"
  3. 서버 처리
    서버는 클라이언트가 보낸 요청을 해석합니다.
    • 단순한 리소스 요청이면 해당 파일을 찾고,
    • 복잡한 작업(예: 계좌 송금 등)은 내부에서 연산을 수행합니다.
  4. 서버 응답 (HTTP 응답)
    요청에 대한 결과를 HTTP 형식으로 다시 클라이언트에게 응답합니다.
    예: HTML, CSS, 이미지 파일 등
  5. 브라우저가 시각화
    브라우저는 응답받은 웹 리소스를 이용자가 볼 수 있게 화면에 렌더링합니다.

 


 

✅ 정리해보면

  • 웹에서 정보를 주고받는 과정은 클라이언트 ↔ 서버 간의 통신으로 이루어집니다.
  • 클라이언트는 정보를 요청하고, 서버는 이를 처리해 응답합니다.
  • 이 모든 과정은 HTTP 프로토콜이라는 약속된 형식에 따라 이뤄집니다.
  • 결국 우리가 웹사이트를 "본다"는 건, 이 복잡한 통신의 결과물을 보고 있는 것이죠!

 


 

📚 용어 다시 보기

  • 통신: 정보를 전하고 받는 행위
  • : 인터넷을 이용한 정보 공간
  • 웹 클라이언트: 정보를 요청하는 주체
  • 웹 서버: 정보를 제공하는 주체
  • 웹 리소스: 서버가 제공하는 콘텐츠 자원
  • 웹 서비스: 웹 상에서 제공되는 기능이나 플랫폼

 

 

웹 통신의 흐름을 이해하면,
프론트엔드 개발자든 백엔드 개발자든 더 탄탄한 기반 위에서 개발할 수 있어요!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 댓글로 남겨주세요 😊

 

👀 웹과 관련한 다른 포스팅이 궁금하다면 아래의 글을 추천해요

 

[네트워크]웹(Web)이란? - 웹의 발전, 보안의 중요성

현대 사회에서 ‘웹’은 단순한 정보 공유 수단을 넘어 우리의 일상을 바꾸는 핵심 기술로 자리 잡았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웹의 개념, 발전 과정, 그리고 웹 보안 및 구조적 개념(프론트엔드와

dev-yeonwha.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