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드로이드개발 3

[Flutter] Callback 함수 - 자식 위젯 이벤트 처리

Flutter에서 자식 위젯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부모 위젯이 처리하도록 만드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그중 하나는 콜백 함수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콜백 함수를 통해 부모 위젯이 자식 위젯의 이벤트를 처리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살펴보겠습니다. 1단계: 기본 구조 작성하기우선, 부모 위젯과 자식 위젯의 기본 구조를 만듭니다. 자식 위젯에서 이벤트를 발생시키지만, 아직 부모 위젯과 연결되지는 않은 상태입니다.class ParentsView extends StatefulWidget { const ParentsView({super.key}); @override State createState() => _ParentsViewState();}class _ParentsViewState ex..

Flutter 2025.01.15

[Flutter] 연습하기 5 - Flutter shopping cart app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플러터(Flutter)를 활용해 쇼핑카트 앱을 만들어보는 과정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플러터의 다양한 UI 위젯과 상태 관리 방식을 익힐 수 있었어요. 1. lib/constants.dart 파일 만들기 2. lib/theme.dart 파일 만들기 3. main.dart 기본 코드 설계하기 4. 쇼핑카트 헤더 만들기 5. main 앱바 추가 6. 쇼핑카트 바디 만들기  1. 앱의 테마 설정앱의 색상과 테마는 constants.dart와 theme.dart 파일에 정의하여 유지보수가 쉽도록 설계했습니다. 이를 통해 전체 앱의 색상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constants.dartimport 'package:flutter/material.dart';const kPrimary..

Flutter 2025.01.14

[DART] Dart 기본 문법 익히기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Google에서 개발한 프로그래밍 언어 Dart의 기본 문법을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Dart는 Flutter를 활용한 앱 개발에서 주로 사용되며, 간결한 문법과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지원으로 초보자부터 숙련자까지 모두에게 사랑받는 언어입니다.그럼, Dart의 세계로 들어가 보겠습니다! 🚀  1. Dart의 시작 : main() 함수void main() { print("Hello, Dart!"); // 콘솔에 출력}Dart 코드의 실행은 항상 main() 함수에서 시작됩니다. 2. 변수와 데이터 타입변수란?값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공간즉 값을 저장해두고 이후 재사용하거나 변경할 수 있도록 메모리 공간을 이름으로 할당한 개념데이터 타입이란?메모리 공간에 들어간 값의 형태..

Flutter/Dart 2025.01.03